본문 바로가기

각종 음식, 음식, 요리, 부식류, 음식 만드는법, 기타

순대, 순대, 분류, 한국의 돼지고기 요리, 길거리 음식, 한국의 고기 요리, 한국의 분식 문화, 순대, 음식. 어원. 역사. 식용 비닐을 사용한다?. 종류. 찹쌀 순대. 고기순대. 아바이순대. 곰순대. 오징어순대. 명태순대. 백암순대. 병천순대. 피순대. 연변순대. 채소순대. 암뽕순대. 막창순대. 그 외. 재료로써. 어떤 장에 찍어먹을 것인가?. 여담. 매체. 위생 문제. 기타. 가격. 둘러보기 음식, 대한민국의 전통 음식이자 천연 철분 보충 음식. 현재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길거리 음식 중의 하나이다. 또한 떡볶이, 튀김, 라면, 김밥과 함께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분식 메뉴이기도 하다. 사전적 정의로는 어디까지나 돼지 창자에 숙주, 우거지, 찹쌀 등과 돼지 선지를 섞어서 된장으로 간한 것을 채워서 삶은 음식을 .. 더보기
김치 담그는 법(저채, 침채) 김치 담그는 법(저채, 침채) 김치 담그는 법(저채, 침채), [ 菹菜-, 沈菜 ]ㅠ분류 의/식/주 > 안순환과 명월관 요리 > 조선요리 레시피 > 근대 조선요리 레시피 통김치【사저(菹)】 목차, 동침이【동저(冬菹), 동침(冬沈)】 무김치【나복함저(蘿蔔菹)】 질임김치 얼가기리김치(초김치) 열무김치【세청저(細菁菹)】 젓국지【해저(菹)】 석박지 풋김치【청저(靑菹)】 나백김치【나복침채, 나복담저(蘿蔔淡菹)】 장김치【장저(醬菹)】 갓김치【개저(芥菹)】 굴김치【석화저(石花菹)】 닭김치【계저(鷄菹)】 동아김치【동과저(東瓜菹)】 박김치【포저(匏菹)】 산겨자김치【산개저(山芥菹), 산갓김치 돌나물김치 파김치【총저(菹)】 외김치【과저(瓜菹)】 외소김치(외소박이) 외지【과함지(瓜鹹漬)】 외짠지 짠지【나복함저(蘿蔔鹹菹)】 깍.. 더보기
우리 음식 문화, 1 우리 음식 문화, 1 한국의 음식 문화를 제대로 알려면 한국의 자연 환경을 이해해야 한다. 한국은 지리적으로 중국 대륙과 일본 열도 사이에 위치하여 두 나라와 교류하면서 공통된 문화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지형과 기후에서 비롯된 자연 조건과 유입된 식재료의 독자적인 발달은 식문화의 차별화를 만들어냈다. 한국의 특수한 자연 환경은 한반도에서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이 고루 생산되는 밑거름이 되었으며, 이를 통해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음식 문화가 생겨나고 진화를 거듭해왔다. 예부터 곡물을 주식으로 하고 각종 채소, 육류, 해산물로 다양한 형태의 찬을 만들어 즐기면서 고유의 식문화를 형성한 한국 음식의 정수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풍부한 식재료를 갖춘우리, 한국은 아시아 대륙 북동부에 위치한 .. 더보기
한국의 음식문화, 한국의 음식문화,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꼭 필요한 3가지는 의.식.주.입니다. 그 중에서도 음식은 우리나라 문화를 잘 나타내는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각 나라를 대표하는 맛있는 음식이 다르며 먹는 방식도 다릅니다. 현대의 음식 소비는 소비자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이라고 논문은 말하고 있습니다. 사회가 변하면서 사람들은 단순히 배를 불려 생존하기 위해 먹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을 바라고 있으며 음식을 통해 더욱 특별한 경험을 찾고자 하는 현상이 증가하였습니다. 과거 가정에서 식사를 하거나 도시락을 챙기는 문화는 감소하였고 외식분야가 활발하게 활성화되었습니다. 이 글은 특히 직장인들을 연구 대상으로 지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외식의 빈도수가 많은 집단으로 외식분야가 산업화되기까지 주된 역할을 한 소비자 .. 더보기
한식의 풍속, 한식의 풍속, 한식의 풍속과 제조 과정, 제철 음식, 절기 음식 종류와 특징/ 새해 첫 날에는 떡국을 먹는다/ 봄의 맛, 삼짇날의 분홍색 화면/ 여름의 맛, 더위를 쫓아주는 제호탕/ 가을의 맛, 햇곡식과 햇과일로 풍요로운 추석/ 겨울의 맛, 악귀를 물리치는 붉은 팥죽/ 짓는다: 다양한 밥의 세계/ 무친다: 전 세계인이 주목하는 건강식은 바로 나물/ 절인다: 김치와 김장/ 삭힌다: 한식의 지혜, 장과 젓갈/ 지진다: 튀김보다 건강한 전/ 끓인다: 탕반 문화, 국 · 찌개 · 전골/ 오랫동안 뜨겁게, 뚝배기/ 얹는다: 아름답고 곱다, 고명/ 고명의 종류와 만들기/ 제철 음식, 절기 음식 종류와 특징 사계절이 뚜렷한 한국은 춘하추동 계절에 따라 나오는 재료로 만들어 먹어온 음식인 제철 음식이 다채롭다. 봄에는.. 더보기
떡국 (Rice Cake Soup) 떡국 (Rice Cake Soup) 섣달 그믐 (New Year’s Eve) 떡을 주재료로 하는 국. 한국의 보편적인 국들과 달리 떡이 들어갔기 때문에 국물이 맑지 않고 약간 걸쭉한 것이 특징이다. 한국에서는 주로 설날 아침에 새 옷으로 갈아입고 조상께 차례를 드린 후 웃어른께 세배를 하고 서로 덕담을 주고받고나서 세찬으로 떡국을 나눠 먹는다. 이날 떡국을 몇 그릇 먹었느냐가 곧 나이를 몇 살 더 먹었냐는 물음을 대신하기도 한다. 설날에 떡국을 먹는 것에는 재료인 가래떡처럼 길게 살라는 의미와 동그란 모양의 떡을 먹고 많은 돈을 벌길 바란다는 의미가 있다. 설날이면 가족이 모여 떡국을 먹으며 소원을 빌고 덕담을 나누는 것이 우리네 전통이다. 지금도 설날이면 으레 떡국을 끓이지만 예전에는 설날에 떡국을 먹.. 더보기
라면 , 2 라면 , 2 한국어 '라면'은 '拉麵'에서 왔으나 외래어라는 인식이 강해 한국 한자음으로 읽은 '랍면'에 두음 법칙까지 적용한 '납면'이라고 하지 않고 '라면'이라고 한다. 아무래도 'ラーメン'에서 '麵' 부분만 한국 한자음으로 읽은 듯하다. 한국에서 간혹 '라멘'을 '라면'이라고 번역하기도 하지만, 한국에서 '라면'은 인스턴트 라면인 반면 일본에서의 라면은 요리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하다. 지칭 대상이 닭갈비와 양념치킨의 차이 만큼이나 다르다. 이 때문에 '라면'이라고 하더라도 '일본 라멘'으로 구분해서 부르는 편이다. 라멘과의 인식 차이는 국내에서도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일본 문화의 소비가 매우 흔해지고, 또 라면의 발생 과정 등에 대한 정보도 많이 알려짐에 따라 국내에서도 별개로 보는 경향이 강하다. .. 더보기
라면, 1 라면, 1 라면의 기원은 1870년대 일본 요코하마 중화거리, 고베 난킨마치 등의 중국요리점에서 처음 시작되었다는 설과 1922년 삿포로에서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다. 돼지뼈, 닭고기, 야채, 멸치 등으로 우려낸 국물에 수프로 양념을 하여 삶은 중화면(中華麵)과 함께 먹는 것이 대체적이다. 라면이 많은 인기를 끌자 편리하게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라면이 등장하게 되었다. 중일전쟁 때 중국인들이 전쟁 비상식량인 건면을 식용유지로 튀겨서 보관하기 쉽도록 포장하고 별도의 수프를 가미하여 먹은 것을 인스턴트라면의 원형으로 보기도 한다. 인스턴트라면이 처음 출시된 것은 1958년으로 산시쇼쿠산(サンシㅡ殖産:현재 닛신식품)에서 생산한 '치킨라멘(チキンラㅡメン)'이 시작이었다. 닛신식품의 창업자 안도 모모후쿠[安藤百福]..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