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요, 판소리, 우리소리, 가락, ,,

민요, [ 民謠 ] 민요, [ 民謠 ] 민중의 생활 감정을 담은 전통적인 노래, 전통 사회의 피지배 계급이 생활의 필요에 의해 불러온 하층 가요. 민요는 민중의 노래라는 뜻이다. 그리고 여기서 민중은 근대 이전 사회의 피지배 계급을 말한다. 그러므로 민요는 본디 노래 담당층의 계급성에 기반을 두고 형성된 용어라고 할 수 있다. 근대 이전 사회에서는 국가, 상층, 하층이 각자의 형편에 맞는 노래 문화의 영역을 마련해왔다. 그러기에 민요는 궁중 가요 및 상층 가요의 상대적 개념으로서 하층 가요에 해당한다. 민요에 대한 문제의식의 본질은 민중이라는 계급성 위에 놓여 있는 것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시각에서 전문 소리꾼들의 노래인 통속민요와 일제강점기 대중가요로 창작된 신민요는 양식에 기반을 둔 개념일 뿐 문화적으로는 하층 가요로서.. 더보기
우리국악, 우리민요, 우리국악, 우리민요, 우리국악 가사,,, *풍년이 왔네 *둥당기 타령 *늴리리야 *진도아리랑 *둥당기 타령 *쾌지나 칭칭 나네 (경상도 민요) *-자진모리 *각설이 타령 *남원산성 (둥가타령) *노래가락 *육자배기, 자진 육자배기 *흥타령 *한강수 타령 *베틀가 *개타령 *뱃노래 *산도깨비타령 *오돌독 *사발가 *꽃타령 *새 타령 *군밤 타령 *액막이 타령 * 아리랑 *긴아리랑 *매화타령 *도라지타령 *청춘가 *어랑타령 *풍구타령 *상여소리(대구) *민속의 소리-자장가/소꿉소리/달풀이/두껍아/기러기/여우야/검둥개 *풍년이 왔네 ->(경기도 민요,8분의 12박자,굿거리 장단) 1)풍 년-이왔---네 /풍 년-이왔-----네-/ 금--수- 강산-에---- /풍- 년 이-왔----네 / 2)지 화-자좋---다.. 더보기
아리랑, 아리랑, 우리말의 어원을 밝히는 일은 흥미 있는 일이지만 매우 난해한 일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나름대로 자의적인 해석을 하여 여러 가지 어원설이 나오게 된다. 그 중에 아리랑도 많은 어원설을 가진 낱말 중에 하나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는 '아리랑'이다. '아리랑'은 우리 겨레에게 친숙하고, 우리 삶의 애환이 깃들인 민요이다. 각 지방과 세대별로 다양한 내용의 아리랑 노래가 있다. 그러나 이렇게 아리랑이 널리 불리는데도 불구하고 '아리랑'이나 '쓰리랑'이라는 말의 어원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아리랑'의 어원에 관한 여러 가설이 있다. 이병도의 낙랑(樂浪)설, 양주동의 아리령설과 이병주의 알라고개(慈悲嶺)설, 장사훈의 구음설, 이규태의 아린설, 정익섭의 얄리얄리설, 김지연의 알영설(閼英說).. 더보기
우리나라 민요, (한국) 우리나라 민요, (한국) 우리나라 민요는 언제부터? 민요를 부른 시작한 시기, '아리랑, 도라지 타령, 한오백년, 쾌지나 칭칭 나네'등의 음악을 민요라고 해요. 민요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것이 특징이며. 우리 조상들은 과연 언제부터 민요를 부르기 시작했을까? 우리나라 민요는? 민요를 언제부터 부르기 시작했으며, 누가 먼저 민요를 지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민요는 오래 전부터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온 노래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민요는 보통 1, 2절로 나누어 부르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후렴구가 있는 것이 특징이에요. 한 사람이 앞소절을 부르면 다른 사람들이 뒷 소절을 받아서 부르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들어 '옹헤야'라는 민요를 보면 한 사람이 먼저 '일 년 일 월'하고 노래를 부.. 더보기
흥부전, 흥부전, 작자․창작 연대 미상의 판소리계 고전소설. 옛날 옛날 경상도와 전라도가 맞닿은 어느 고을에 형제가 살았다. 동생 흥부는 부모에게 효도하고 제 형제를 사랑으로 대했다. 착한 동생 흥부와 욕심 많고 심술궂은 형 놀부가 있는데, 흥부는 다친 제비 다리를 고쳐서 복을 받고 형은 벌을 받는다는 이야기. 유형/ 시대/ 성격/ 작가/ 지역(소장처·전승지)/ 작품 조선 고전소설 미상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장서각 도서 「흥부전」의 기본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활자본, 방각본, 필사본, 구활자본 등이 두루 전한다. 은 판소리 의 사설을 차용하여 기록화하는 과정에서 생겨났기 때문에 일반 서민, 광대, 양반 등의 작가군을 상정할 수 있다. 이런 흥부전의 형성시기는 18세기로 추정되며 줄거리는 다음과 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