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벽에는 황색 바탕에 #비로자나불 #우두머리로 한 36가지의 형태를 그려 봉안 #복전승 5명에게 #『화엄경(華嚴經)』 #『육백반야경(六百般若經)』 #밤으로는 문수예참(文殊禮懺)을 염송 #화엄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대장경,[ 大藏經 ] 1 대장경,[ 大藏經 ] 1 불교의 경장․율장․논장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집대성한 것 대장경은 인도에서 완성된 경(經)․율(律)․논(論)의 삼장(三藏)과 중국 및 여러 나라 불교학자들이 저술한 논서들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총합한 것을 말한다. 『삼국유사』 권3 탑상4 대산오만진신(臺山五萬眞身)조에서는 오대산 화장사(華藏寺)에서 대장경을 읽었다고 하였고, 전후소장사리(前後所將舍利)조에서는 신라말기에 보요(普耀)선사가 두 차례 오월국(吳越國)에 가서 대장경을 가지고 왔다고 하였다. 『삼국유사』 권3 탑상4 대산오만진신(臺山五萬眞身)조에 오대산 화장사(華藏寺)에서 대장경을 읽었다고 하는 기록이 있다. 그 주요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신문왕의 아들 보천과 효명이 오대산에 들어가 각각 암자를 짓고 수행하였다. 보천.. 더보기 이전 1 다음